Home>뿌리탐구

항렬표

본 항렬표(行列表)는 2001년 발행된 선성군파(宣城君派) 파보(波譜) “신사보(辛巳譜)”를 기준으로 작성됐으며, 시조로부터 23세(世)인 정종대왕의 왕자군파와 비교하기 쉽게 만든 표입니다.

항렬표의 세(世) 와 대(代)의 이해는 하단의 “세 와 대”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시조

(世)

선계

시조에서 世

36

37

38

39

40

41

42

43

44

45

46

47

48

49

50

51

52

53

54

55

제왕

파조에서 代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21

22

23

24

25

26

27

28

29

30

31

23세

정종
定宗

의평군

義平君

명대

용헌

찬국

○기

석○

○원

주○

○열

재○

○용

홍○

○환

병○

○곤

 

 

 

 

 

溟大

用憲

燦國

○基

錫○

○源

柱○

○烈

在○

○鏞

洪○

○桓

丙○

○坤

 

 

 

 

 

순평군

順平君

규복

종○

○한

근○

○하

규○

○용

범○

○명

형○

○성

기○

○강

재○

○성

발○

○학

병○

○인

경○

圭馥

鍾○

○漢

根○

○夏

圭○

○用

凡○

○命

衡○

○成

起○

○康

宰○

○聖

發○

○學

秉○

○寅

卿○

선성군

宣城君

효축

○진

원○

○화

응○

○중

상○

○우

인○

○항

규○

○호

운○

○주

광○

○배

종○

○홍

병○

○열

孝遂

○鎭

源○

○和

應○

○中

商○

○雨

寅○

○恒

奎○

○鎬

雲○

○柱

光○

○培

鍾○

○洪

柄○

○烈

 

 

도○

○현

명○

○로

선○

○해

인○

○환

재○

○용

낙○

○림

경○

○항

록○

 

 

 

 

 

道○

○鉉

明○

○魯

宣○

○海

仁○

○煥

在○

○鎔

洛○

○林

炅○

○恒

錄○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교

의○

 

동○

○충

 

○석

택○

○병

용○

○곤

윤○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敎

義○

 

東○

○忠

 

○碩

宅○

○秉

容○

○坤

允○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신

 

 

 

 

 

○현

하○

 

 

 

진○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信

 

 

 

 

 

○鉉

河○

 

 

 

鎭○

 

 

 

종의군

從義君

덕○

○명

○근

○곤

현○

○연

병○

○환

기○

○용

준○

○상

사○

○규

종○

○수

동○

○희

재○

○호

德○

○蓂

○根

○坤

鉉○

○淵

柄○

○煥

基○

○鏞

濬○

○相

思○

○珪

鍾○

○洙

東○

○熙

在○

○鎬

진남군

鎭南君

관성

양림

형복

영일

정○

○순

수○

○희

재○

○종

태○

○동

남○

○기

용○

○호

상○

○열

규○

○선

貫性

養林

衡馥

寧一

鼎○

○淳

秀○

○熙

在○

○鍾

泰○

○東

南○

○基

鎔○

○浩

相○

○烈

圭○

○善

수도군

守道君

동○

○용

규○

○선

승○

○수

병○

○기

종○

○한

주○

○환

시○

○호

태○

○식

남○

○균

석○

○석

東○

○容

奎○

○善

承○

○秀

丙○

○基

鍾○

○漢

柱○

○煥

時○

○鎬

泰○

○植

南○

○均

錫○

○求

임언군

林堰君

○대

○식

○하

교○

○선

제○

○근

병○

○주

종○

○영

상○

○환

재○

○회

호○

○영

형○

 

 

○大

○植

○夏

敎○

○善

濟○

○根

炳○

○周

鍾○

○泳

相○

○煥

載○

○會

浩○

○榮

炯○

 

 

석보군
石保君

만첨

창운

헌후

광택

○용

기○

○진

원○

○식

병○

○규

호○

○연

상○

○섭

 

 

 

 

 

萬瞻

昌運

헌후

光澤

○容

基○

○鎭

源○

○植

丙○

○奎

鎬○

○淵

相○

○燮

 

 

 

 

 

덕천군

德泉君

면학

달원

상○

건○

○하

은○

○주

용○

○연

정○

○환

중○

○전

순○

○동

병○

○준

○호

규○

건健

勉學

達遠

象○

建○

○夏

殷○

○周

鎔○

○淵

楨○

○煥

重○

○銓

洵○

○東

炳○

○埈

○昊

圭○

○健

임성군

任城君

○주

제○

○식

○우

재○

○구

순○

○병

희○

○규

진○

○수

상○

○열

중○

○선

영○

○화

병○

○周

濟○

○植

○愚

在○

○九

淳○

○秉

熙○

○圭

鎭○

○洙

相○

○烈

重○

○善

永○

○和

炳○

도평군

桃平君

○익

병○

○호

제○

○식

희○

○규

종○

○수

근○

○현

경○

○용

호○

○환

 

 

 

 

 

○翊

秉○

○鎬

濟○

○植

熙○

○圭

鍾○

○洙

根○

○炫

坰○

○鏞

浩○

○桓

 

 

 

 

 

장천군

長川君

인영

민중

가신

○수

병○

○열

재○

○종

윤○

○근

광○

○교

석○

○연

식○

○환

규○

○진

원○

○영

仁英

民中

可臣

○洙

秉○

○烈

載○

○鍾

潤○

○根

光○

○敎

錫○

○淵

植○

○煥

圭○

○鎭

源○

○榮

정석군

貞石君

창근

건중

사관

○엽

기○

○종

해○

○영

병○

○규

용○

○순

상○

○찬

재○

○석

태○

○근

우○

○균

昌根

建中

思觀

○燁

基○

○鍾

海○

○榮

炳○

○奎

鏞○

○淳

相○

○燦

在○

○錫

泰○

○根

愚○

○均

무림군

茂林君

규○

종○

○한

병○

○묵

기○

○호

해○

○근

희○

○균

용○

택○

동○

○훈

재○

○진

만○

 

 

圭○

鍾○

○漢

秉○

○默

基○

○鎬

海○

○根

熙○

○均

鎔○

澤○

東○

○勳

載○

○鎭

滿○

 

 

 

 

세(世)와 대(代)란?

시조(始祖)를 1세로 하여 차례로 계수(計數)하는 것이 세(世)이며, 나머지를 차례로 계수하는 것이 대(代) 이다.

예컨대 부자(父子)사이는 세로는 2세(世)지만 대로는 1대(代)이다.

즉 세는 자기까지 합산하여 계산한 대수이며, 대는 자기를 빼고 바로 윗대 아버지까지를 합산하여 계산한 대수를 말한다.

(예)    • 고조는 나의 4대조(代祖)이다.

• 나는 고조의 4대손(代孫)이다.

 

이 경우 자기가 합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를 써야 하며, 세로 표시 할 경우는 자기가 합산되기 때문에 5세조 또는 5세손이라는 계산이 되나 선조는 세를 쓰지 않고, 고조(高祖) 또는 4대조(代祖). 5대조(代祖), 6대조(代祖)와 같이 칭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