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성군파보(宣城君派譜) 소개
|
1) 서문序文 은
선성군 11대손 진사進士 숙숙 이 썼고(춘산파)
선성군 11대손 전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장철(長喆 1933~1815)이 썼습니다.(명산파)
※박직재樸直齋 의전倚天공의 손자
선성군 12대손 진사進士 주철周喆 (1753~1825)이 썼으며(병산파)
※노저상공 3남 세마공 7대손 집의執義 종영宗榮의 아들
선성군 9대손 만선萬善 (1766~1834:도성파) 이렇게 네분이 쓰셨다.
2) 발문 跋文은 통 정 대 부 사 렴 공 師濂公의 아 들 선 성 군 1 1 대 손 통 덕 랑 通德郞) 회겸會謙(1761~1834)공이 쓰셨다.(춘산파)
이와같이 서문과 발문을 지파별로 글 잘하는 분들이 선택되어 쓰셨고, 글 내용에는 족보를 모시는 의의를 소상히 표현하셨기에, 7중보 족보에는 국역하여 소상히 게재하였다.
3) 정묘보는 4책冊 15권卷
1책은 서문 다음이 범 그리고, 선성군 산형도宣城君 山刑圖와 위토가 명기 되어있다. 제1책은 수권首卷부터 3권까지 포함되어 있고, 수권에는 서문과 범 가 있으며, 다음 자손록에는 천자문千字文의 천天자부터 왕往자 까지의 순順으로 되어 있다.
이 정묘보는 1807년(순조7)에 간행되었다.
|
1864(고종1)년에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명에 의하여 전체 왕자손 족보가 편찬되었습니다.
특히 우리 종중은 갑자보가 두 질이 모셔져 있는데, 처음것은 권지1~3권까지 3권으로 되어 있고, 개정판 갑자보는 4책으로 되어 있다.
갑자보Ⅰ서문도 없고 범 만 있을 뿐 선원속보璿源續譜로 되어 있다.
① 선원속보 권지1 璿源續譜 卷之1, 천天~수首
② 선원속보 권지2 璿源續譜 卷之2, 신臣~사事
③ 선원속보 권지3 璿源續譜 卷之3, 군君~기氣
항 렬: ◯和, ◯ ◯中, 商◯ ◯永, 寅◯
발행인: 사손祀孫 - 유학幼學 신臣 준재準在
문장門長 - 유학幼學 신臣 인종麟宗
교정유사校正有司 - 유학幼學 신臣 두진斗鎭 (1809~1876)
유학幼學 신臣 용진龍鎭 (1822~1866)
선서유사繕書有司 - 유학幼學 신臣 주협周協 (1816~1879)
갑자보 Ⅱ
① 선원속보 권지1璿源續譜 卷之1, 1~99장張 천天~주周
② 선원속보 권지2璿源續譜 卷之2, 1~122장張 발發~습習
③ 선원속보 권지3璿源續譜 卷之3, 1~127장張 청聽~비比
④ 선원속보 권지4璿源續譜 卷之4, 1~140장張 천天~목
개정판 끝에
사손祀孫 참봉參奉 - 신臣 준재準在
문장門長 유학幼學 - 신臣 인종麟宗
개정유사改正有司 - 진사進士 신臣 원상源祥 (1821~1890)
- 유학幼學 신臣 용화容和 (1828~1884)
|
1900年 조선조 최후의 종친부宗親府에서 발간한 족보이다. 생각하면 참으로 소중하기 그지 없지만 많은 제약이 있어 이때까지는 구각舊 을 탈피하지 못하여, 적서嫡庶는 물론 옛것을 그대로 답습했다. 왕자손 문중 전체의 족보 편찬 양식이 동일했다. 서문, 발문이 없고 범 만 앞에 등재되어 있다. 역시 선원속보璿源續譜이며 우리 문중 표시는 정종대왕 자손록定宗大王 子孫錄 선성군파宣城君派라고 보책譜冊 처음에 명기되어 있다.
총 6책으로 되었고, 6단段으로 편집되어 있으며, 6책 1질, 총 714장張에 1428 으로 되어 있다.
① 권지1卷之1, 1~110장, 천天~공拱
② 권지2卷之2, 1~113장, 천天~애愛
③ 권지3卷之3, 1~96장, 천天~당唐
④ 권지4卷之4, 1~100장, 천天~도道
⑤ 권지5卷之5, 1~143장, 천天~만萬
⑥ 권지6卷之6, 1~152장, 천天~오五
항 렬行列: ◯和, 應◯ ◯中, 商◯ ◯雨, 寅◯ ◯恒, 奎◯ ◯義, 貞◯ ◯相,
발 행 인: 사손祀孫 - 유학幼學 신臣 원기源琪
문장門長 - 유학幼學 신臣 기종冀宗
도유사都有司 - 전승지前承旨 신臣 원긍源兢
교정유사校正有司 - 유학幼學 신臣 원식源植
선서유사繕書有司 - 유학幼學 신臣 용화鏞和
|
경술(1910) 국치國恥 이후, 처음으로 문중종친의 자체 역량力量만으로 발간된 족보이다.
경자보(1900) 발간 후 불과 20여년 밖에 안되었는데, 벌써 수보사업을 추진한 우리 종중사宗中史에서 보여 주듯이 열과 성의를 다하고 발전적이고 개화된 7책 1질帙로 된 족보이다.
적서嫡庶를 삭제削除하고 현조顯祖에 힘을 쏟았다. 특히 평산 군부인平山郡夫人 한씨韓氏께서 선성군 묘 전에 예모禮貌를 갖춘 묘가 모셔져 있음에도 족보에 등재 되지도 못했을 뿐 아니라, 서산여미 선정묘宣靖廟에서도 향사를 받들지 못하던 것을, 과감히 구습을 타파한 족보이다. 총 7책 1질의 방대한 족보를 서기 1926년에 간행하였다.
도유사都有司 병산파 명상공明翔公은 서문을 잘 쓰셔기에 제7중보판 신사보辛巳普, (2001년)에 정묘보 서문과 아울러 원문과 국역문을 동시 등재하였다.
특히 병인보는 경자보까지의 족보와 달리 ① 범 ② 선성군파보 서문 ③ 선원선계, 선원계 ④ 건원릉, 제릉을 비롯한 신도비문, 선성군묘소 산형도와 그 위토목록, 명산도정묘소 산형도와 그 위토표시가 꼼꼼이 기재되어 그 분량이 24장張이나 된다.
① 권지1卷之1, 23~105장張, 천天~문文
② 권지2卷之2, 1~90장張, 천天~위位
③ 권지3卷之3, 1~98장張, 천天~민民
④ 권지4卷之4, 1~100장張, 천天~죄罪
⑤ 권지5卷之5, 1~109장張, 천天~도道
⑥ 권지6卷之6, 1~93장張, 천天~유有
⑦ 권지7卷之7, 1~100장張, 천天~민民
항렬行列: ◯和, 應◯ ◯信, 義◯ ◯海, 相◯ ◯忠, 在◯ ◯銘, 雲◯ ◯仁, 光◯, ◯培, 錦◯ ◯洪, 柄◯ ◯烈, 基◯
발 행 인 :종손宗孫 - 웅태應泰
문장門長 - 주현周賢
도유사都有司 - 명상明翔 병산 지파
교정유사校正有司 - 원승源昇 도성지파, 능화能和 병산지파
장재유사掌財有司 - 병정炳鼎 명산지파, 원교源嶠 명산지파
유사有司 - 화진華鎭 병산지파, 현태鉉台
정화珽和 도성지파
광태光泰 명산지파
응인應寅
감인유사鑑印有司 - 응상應 정노正櫓 두분공히 병산지파
|
병인보 발간이후(1926) 34년만에(1959) 발간된 족보이다.
기해보는 옛 모습을 완전히 탈피하여 양장정洋裝幀 단행본單行本으로 흑백사진까지 삽입한 개화된 경제적인 족보가 되어 총 944 으로 되어있다.
① 선성군파보 서문, 목차目次, 도판圖版 11면 p1~12
② 선원선계璿源先系 시조始祖~장군공將軍公까지 17세
선원세계璿源世系 목조 성목대왕穆祖 聖穆大王~정종대왕定宗大王까지 6세 P1~22
③ 선원속계璿源續系 선성군宣城君부터 파군罷君 전까지 4세 P23~30 (P8)
④ 춘산도정파春山都正派 P31~68 (P38)
⑤ 명산도정파明山都正派 P69~316 (P248)
⑥ 풍안부수파豊安副守派 P317~334 (P18)
⑦ 설성부정파雪城副正派 P335~418 (P84)
⑧ 병산군파屛山君派 P419~600 (P182)
⑨ 도성수파陶城守派 P601~908 (P308)
⑩ 부록附錄 P909~932 (p24)
항렬行列:
◯鎭 |
源◯ |
◯和 |
應◯ |
◯中 |
商◯ |
◯雨 |
寅◯ |
◯恒 |
|
|
|
|
|
|
|
明◯ |
◯魯 |
義◯ |
◯海 |
相◯ |
◯渙 |
|
|
|
|
|
|
|
|
◯敎 |
|
|
|
◯忠 |
|
|
|
|
|
|
|
|
◯信 |
|
|
|
|
|
|
|
|
奎◯ |
◯鎬 |
雲◯ |
◯柱 |
光◯ |
◯培 |
鍾◯ |
◯洪 |
柄◯ |
◯烈 |
基◯ |
◯擇, |
永◯ |
在◯ |
|
|
|
|
|
|
|
|
|
|
|
|
발 행 인 :檀紀 4292年(1959 기해己亥) 5月 24日 出
종손宗孫 - 상열商說
문장門長 - 석진奭鎭, 병산屛山
고문顧問 - 장화章和, 도성陶城
응익應益, 명산明山
응국應國, 병산屛山
수보위원장修譜委員長 - 중화重和, 병산屛山
수보부위원장修譜副委員長 - 용화龍和, 도성陶城
총무위원總務委員 - 응만應晩, 춘산春山
편집위원編輯委員 - 강화康和, 도성陶城
교정위원校正委員 - 정노正魯, 병산屛山
재무위원財務委員 - 원생源生, 명산明山
감인위원 겸 선서간사鑑印委員兼繕書幹事 - 철화哲和, 도성陶城
감인위원鑑印委員 - 인협寅協, 설성雪城
감사위원 겸 선서간사鑑査委員兼繕書幹事 - 응세應世, 도성陶城
감사위원鑑査委員. - 철화哲和, 도성陶城, 응오應五, 풍안豊安
간사幹事 - 응진應珍, 도성陶城, 상윤商胤 풍안豊安
|
상·하 두 책을 한 케이스 곽 안에, 넣어진 양장본으로 하여 22년만인 1981년에 출간되었습니다.
처음 900질帙을 출간하고 부족하여 300질을 추가 영인影印하여 총 1200질을 출간했다. 한 질당 1967이다. 국립도서관 기타 기관에 30질 정도 기증을 하고, 그 외는 우리들 집집마다에 모셔져 있다.
상권上卷
① 서문 및 범 - P1~14
② 목차, 도판 - P15~16
③ 선원선계璿源先系-시조 사공공司空公~장군공將軍公 17세, P1~22 (P22)
선원세계璿源世系- 목조 성목대왕聖穆大王~정종대왕 6세
※도판圖版 총 29면面
④ 선원속계璿源續系-선성군宣城君~파군罷君 전 4세- P23~30 (P8)
⑤ 춘산도정파春山都正派 P31~102 (P72)
⑥ 명산도정파明山都正派 P103~644 (P542)
⑦ 풍안부수파豊安副守派 P645~682 (P38)
⑧ 설성부정파雪城副正派 P683~834 (P152)
⑨ 병산군파屛山君派 P835~1160 (P326)
⑩ 도성수파陶城 守派 P1161~1868 (P708)
⑪ 부록附錄
㉠ 종환 일람표從宦一覽表 P1869~1876 (P8)
㉡ 집계표集計表, 저서일람표著書一覽表 P1877~1880 (P4)
㉢ 재산목록財産目錄 종중사업목록宗中事業目錄 P1881~1882 (P2)
㉣ 주소록住所錄 및 통계표統計表 P1883~1895 (P13)
㉤ 항렬도行列 圖 및 수보위원명단修譜委員名單 P1896~1897 (P2)
총 1897페이지 내에 전기와 같은내용 도판圖版 12판版에 38장면張面 삽입과
산형도山形圖 16장면이 들어있다. 항렬도는 기해보己亥譜와 완전히 일치한다.
발행인:종손宗孫 - 시우始雨
문장門長 - 경진慶鎭, 도성陶城
고문顧問 - 중화重和, 병산屛山
- 원생源生, 명산明山
- 응세應世, 도성陶城
- 응진應珍, 도성陶城
- 응만應晩, 춘산春山
- 영화永和, 도성陶城
|
제7중보 선성군파보는 21세기의 여명과 같이 2001년에 신사보辛巳譜는 종친들의 집집마다 그리고 국내 유수有數대학, 도서관, 미국 하바드 대학, 브림 엄 영 대학교 족보 수장고 등 까지 배부되었다.
※ 甲辰譜 1904 2冊 1帙 竹山 板(陶城支派)